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메이드 인 와리오 고저스

덤프버전 : (♥ 0)


파일:마리오 엠블럼.svg
[ 기타 게임 ]

개별 작품마리오브라더스 · 마리오와 와리오 · 와리오의 숲 · 마리오 클래시 · 슈퍼 마리오 볼 · 슈퍼 프린세스 피치 · 전진! 키노피오대장! · 프린세스 피치 Showtime!
레킹 크루VS. 레킹 크루 · 레킹 크루 · 레킹 크루 '98
닥터마리오 · VS. 닥터마리오 · BS판 · 64 · &세균박멸 · 잠깐 · 닥터루이지 · 역전! 특효약 · 월드(서비스 종료)
피크로스마리오의 피크로스 · 마리오의 슈퍼 피크로스 · 피크로스 2 · 피크로스 NP
창작 게임재봉: 아이 앰 어 티처 슈퍼 마리오의 스웨터 · 마리오 패밀리

드로잉·편집: 마리오 페인트 · 마리오의 포토피

마리오 아티스트: 페인트 스튜디오 · 탤런트 스튜디오 · 커뮤니케이션 키트 · 폴리곤 스튜디오
어플리케이션
닌텐도 DSi 전자계산기/시계 패미컴 마리오 타입 · 함께 포토 슈퍼 마리오
크로스오버
Wario Blast · 테트리스 & 닥터마리오 · UNDAKE30 사메가메 대작전 마리오 버전 · 게임보이 갤러리 시리즈 · 닥터마리오 & 패널로퐁 · NINTENDO 퍼즐 컬렉션 · NBA 스트리트 V3: 마리오로 덩크 · Dance Dance Revolution with MARIO · SSX On Tour with 마리오 · 역만 DS · 이타다키 스트리트 DS/Wii · 퍼즐앤드래곤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에디션 · 스카이랜더스 슈퍼차저스 · 마인크래프트 슈퍼 마리오 매시 업 팩
라이선싱마리오브라더스 스페셜 ·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스페셜 · 마리오 이즈 미싱 · 마리오의 타임머신 · 호텔 마리오 · 마리오의 게임 갤러리
마리오 시리즈의 모든 게임

[ 관련 문서 ]

||


메이드 인 와리오 고저스
メイド イン ワリオ ゴージャス
WarioWare Gold
파일:Made_in_Wario_Gorgeous_JP_Boxart.jpg
일본판 박스아트
파일:WarioWare_Gold_Boxart_NA.jpg
북미판 박스아트
개발파일:인텔리전트 시스템즈 로고.svg
유통파일:닌텐도 로고.svg
플랫폼파일:닌텐도 3DS 로고.svg[1]
장르순간 액션 게임
인원1명
발매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2018년 7월 27일
파일:호주 국기.svg 2018년 7월 28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8년 8월 2일
파일:미국 국기.svg 2018년 8월 3일
3D 영상미대응
저장 데이터3개
등급파일:일본 국기.svg CERO A
파일:미국 국기.svg ESRB E10+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PEGI 7
홈페이지일본 북미 유럽
1. 개요
2. 특징
2.1. 베스트 모음집+α
2.2. 조작
2.3. 풀 보이스 더빙 + 커스텀 더빙
3. 모드
3.1. 스토리(모드)
3.1.1. 스토리, 등장인물
3.1.2. 스테이지
3.2. 챌린지
3.3. 도감
3.4. 뽑기 머신
3.4.1. 와리오 카드
3.4.2. 미니게임(기록형)
3.4.3. 와리오의 amiibo 스케치
3.5. 미션
4. 기타
5. 영상 모음



1. 개요[편집]



짧은 미니 게임들을 모아 플레이하는 메이드 인 와리오 시리즈닌텐도 3DS용 게임. 이전 시리즈에서 선별한 미니 게임에 새로운 미니 게임이 추가된 베스트 모음집으로, 버튼, 자이로 센서, 터치스크린, 마이크의 폭넓은 조작을 사용한다. 일본에서 2018년 8월 2일, 북미에서 같은 해 8월 3일 발매되었다. 한국에서는 발매되지 않았다.

2021년 10월 15일, 비공식 한글패치가 공개됐다.

2. 특징[편집]



2.1. 베스트 모음집+α[편집]


모음집 콘셉트에 따라 다양한 작품에서 미니게임 출전이 이루어졌다. 다만 단순히 이전 미니게임을 그대로 이식한 것이 아니라, 출전한 미니게임 대부분의 그래픽이 새롭게 바뀌었으며, 개중에는 조작이나 게임플레이가 다소 바뀌어 등장하는 것도 있다.

출전작으로는 버튼, 돌리기, 터치로 대표되는 메이드 인 와리오, 돌려라 메이드 인 와리오, 만져라 메이드 인 와리오는 물론 춤춰라 메이드 인 와리오, 메이드 인 나(俺) 또한 있으며, 게임 & 와리오의 컨텐츠도 찾아볼 수 있다. 그 밖에 파이브볼트가 추가되면서 닌텐도 게임들을 응용한 미니게임들의 연출이 대거 수정되고 파이어 엠블렘 각성이나 리듬 천국 등 많은 게임들이 추가로 등장했다.


이렇게 해서 본작에는 총 316개의 미니게임이 등장한다. 미니게임 전체 모음 영상


2.2. 조작[편집]


메이드 인 와리오 시리즈에서 사용된 대부분의 조작과 기믹이 활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버튼 누르기, 본체 돌리기, 아래 화면 터치가 있으며 마이크 또한 대응한다.[2]

본작에서 각 조작법은 다음과 같은 용어로 불린다.
  • 꾹꾹(ピコピコ/Mash): 십자버튼 또는 A버튼 누르기
  • 뱅뱅(ぐるぐる/Twist): 핸들처럼 본체를 좌우로 돌리기(자이로 센서 사용)
  • 터치(タッチ/Touch): 터치스크린을 터치하거나 슬라이드
  • 후후(フーフー/Blow): 마이크 단자에 바람 불기. 꾹꾹, 뱅뱅, 터치와 별개인 예비 조작법으로, 플레이 도중에 이 조작을 사용하는 미니게임이 갑자기 등장한다.
  • 울트라(ウルトラ/Ultra): 위의 모든 조작이 섞여 나오는 것을 의미. 각 미니게임 시작 전에 어떤 조작을 사용하는지 알려주는 것('울트라')과 그렇지 않은 것('울트라 ~가이드 없음')으로 나뉜다.[3]


2.3. 풀 보이스 더빙 + 커스텀 더빙[편집]


시리즈 최초로 국가와 캐릭터 별로 대사 더빙이 되었다.[4] 컷신의 대사는 물론, 게임 진행 중에 나오는 대사(성공, 실패, 스피드업, 레벨업 등)까지 모두 각국, 각 캐릭터의 언어로 나온다. 더빙 언어는 일본어, 영어는 물론 유럽 각국의 언어까지 충실하게 지원한다. 한국어는 출시되지 않았으니 없다.

영어판의 경우 와리오는 이전부터 와리오의 성우였던 찰스 마티네이가 그대로 더빙에 참여했다. 나인볼트의 엄마인 파이브볼트의 성우는 크리스티나 발렌주엘라.

덧붙여 한 번 수집한 컷신의 경우 3DS의 마이크 녹음 기능을 이용해 자신의 목소리로 커스텀 더빙을 할 수도 있다. 본 문서의 '영상 모음' 문단에서 더빙된 컷신을 볼 수 있으며, 커스텀 더빙 기능에 대한 소개도 볼 수 있다.


3. 모드[편집]


이번 작품의 주요 플레이 모드로는 스토리, 챌린지, 도감, 아케이드가 있다.


3.1. 스토리(모드)[편집]


ストーリー / Story

스토리 모드에는 이전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등장하는 각 캐릭터마다 스토리와 미니게임들이 준비되어있다. 스테이지별로 생활, 판타지, 스포츠, 닌텐도 등등 정해진 테마의 미니게임들이 등장한다.

모음편답게 기존 시리즈 캐릭터 대부분이 등장하며[5] 새로운 캐릭터로 '루루(ルールー/Lulu)'가 등장한다. 스토리 모드의 모든 컷씬은 풀 보이스 더빙된 대사와 함께 진행된다.

게임플레이 자체는 이전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목숨 4개로 여러가지 미니게임을 뚫고 보스 미니게임을 클리어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된다. 본작에서는 중간에 게임 오버를 당해도 코인을 지불하면 게임 오버된 시점에서 바로 재개할 수 있게 되었다. 2회차부터는 보스 미니게임을 클리어하면 코인을 많이 모을 수 있는 보너스 게임이 등장한다.


3.1.1. 스토리, 등장인물[편집]


오프닝 영상 (일본어)
||


보물과 돈이라면 사족을 못쓰기로 유명한 다이아몬드 시티 주민 와리오. 럭스 마을(ラックスむら/Luxeville)에서 보물을 훔친 뒤 집에 돌아와 쉬는 중에 돈이 다 떨어진 것을 알게 된다. 때마침 와리오는 TV에서 '슈퍼 PYORO'라는 게임이 히트를 치는 것을 보고 게임 대회를 개최하여 돈을 벌기로 한다. 이 대회에서 참가비로 1만 코인을 받고 우승 상금으로 1000만 코인을 내건다. 와리오는 다이아몬드 시티 전체에 방송으로 대회를 홍보한 뒤, 지인들에게 게임을 만들어 달라고 부탁하여 게임을 모아 대회를 열게 된다.
자칭 럭스 마을의 영웅인 여자아이. 와리오에게 빼앗긴 보물을 되찾기 위해 다이아몬드 시티에 찾아온다.


3.1.2. 스테이지[편집]


게임 대회라는 컨셉에 따라 조작별로 '리그'가 존재한다. 꾹꾹, 뱅뱅, 터치 리그는 순서에 상관없이 시작할 수 있다. 각 리그 내 스테이지는 순서대로 진행하며, 등장하는 미니게임의 테마가 각각 구분되어 있다. 초대 메이드 인 와리오를 계승한 것.




3개의 리그를 모두 클리어하면 등장. '후후'를 포함하여 모든 조작을 사용한다. 리믹스 계열 스테이지에는 마이크의 미니게임과, 섀기(しゃぎぃ/Fronk)의 기습형 미니게임이 등장한다.
리믹스 1. 이전 리그의 생활, 스포츠 테마의 미니게임이 섞여 등장. 누구의 게임인지는 실루엣으로 나온다.
리믹스 2. 이전 리그의 닌텐도, 판타지 테마 미니게임이 섞여 등장. 누구의 게임인지는 시작전에 손을 들어준다. [8]
'이것저것(ナンデモアリ/Anything Goes)' 테마. 인트로 게임과 와리오 테마의 새 게임이 등장. 여러가지 조작을 한 번에 사용하는 미니게임이 존재. 문제는 게임 도중 일정 라운드 이후부터 특정 캐릭터가 난입하기 전 까지 와리오가 마법을 사용해 미니게임 시작 전 알려줘야 할 조작 타입 가이드를 일부러 숨겨버린다. 이는 위 문단에서 설명한 울트라 ~가이드 없음~이며, 이에 익숙해져 있지 않다면 모든 메이드 인 와리오 시리즈 중에서도 강력한 난이도를 자랑한다.


3.2. 챌린지[편집]


チャレンジ / Challenge

미니게임을 색다른 규칙으로 즐기는 도전 모드.[9] 스토리 모드를 클리어한 이후에 플레이할 수 있으며, 총 9가지가 있다. 대부분 조작법('꾹꾹', '뱅뱅', '터치', '울트라', '울트라 ~가이드 없음')을 선택하여 도전할 수 있으며, 클리어 기록도 조작법에 따라 각각 정산된다.

사자 그림의 엘리베이터 코스. 해금한 모든 미니게임이 랜덤으로 등장하는 일반 규칙의 챌린지 모드.
악어 그림의 엘리베이터 코스. 해금한 모든 미니게임이 랜덤으로 등장하며, 한 번 실패하면 게임이 끝나버리는 챌린지 모드. 속도는 최저 속도 그대로, 난이도는 레벨 3으로 고정된다.
독수리 그림의 엘리베이터 코스. 해금한 모든 미니게임이 랜덤으로 등장하며, 처음부터 최고 속도로 진행하는 챌린지 모드. 속도가 빠른 대신 난이도는 레벨 1로 고정된다.
돌려라 메이드 인 와리오에 등장했던 모드. 목숨 대신 시간 제한이 있으며, 미니게임을 클리어하면 제한 시간을 조금씩 벌 수 있다. 기본 시간을 많이 주는 '노멀'과 기본 시간을 적게 주는 '아슬아슬' 2가지 모드가 있다.
게임 & 와리오에 등장했던, 나인볼트가 밤에 엄마 몰래 미니게임을 클리어해 나가는 모드. 평소처럼 미니게임을 진행하다가 L, R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게임을 멈추고 자는 척을 할 수 있다. 목숨 4개 제한이 있으며 엄마가 쳐다보지 않을 때 자는 척을 하면 위의 수면 게이지가 줄어든다. 엄마에게 게임하는 모습을 들키커나, 목숨을 모두 잃거나, 수면 게이지가 다 줄어들면 게임 오버. 난이도는 레벨1~3, 엔드리스로 나뉘며 조작은 '꾹꾹'만 사용한다. 3DS의 아래쪽 화면엔 게임, 위쪽 화면엔 파이브볼트의 동향이 나오기에 별도의 조치 없이도 거의 한눈에 보는게 가능해서 Wii U 패드와 TV를 계속 번갈아가면서 봐야하던 원본에 비해 쉬운 편이다. 대신 고저스에서 추가된 설정에 맞춰서 파이브볼트가 TV가 있는 단상을 째로 들어올려서 나타나는 변수가 추가됐다. 전조는 단상의 진동. 이 때 단상을 들어올리는 사람이 근육질 쇼호스트일 수 있다.
와리오루루의 챌린지 모드로, 조작법은 '울트라' 하나. 기본은 '뒤죽박죽'이랑 같지만 와리오가 시야를 가리거나 화면을 변화시키는 등 방해 공작을 한다. 미니게임을 계속 클리어하여 게이지를 채우면, 루루를 불러 방해 요소를 없앨 수 있다. 등장하는 방해 요소는 다음과 같다.
드리블 & 스피츠의 챌린지 모드로[10], 조작법은 '꾹꾹'만 사용. 미니게임을 클리어하여 정해진 거리의 도로를 주파하는 모드로, 위쪽 화면에 남은 라이프와 타이머를 볼수있다. 만약 미니게임을 실패할 경우 라이프가 1개 감소되고 타이머에 10초가 추가되는 패널티를 받는다. 본체를 위아래로 움직여서 게임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목표 기록 달성과 난이도의 균형을 스스로 잡는 것이 포인트.
캐트 & 안나의 챌린지 모드. 미니게임마다 3DS 본체의 위아래 화면을 번갈아 사용하며, 하나의 미니게임이 끝나는 즉시 쉴 타이밍을 주지 않고 다른 미니게임이 등장한다. 조작법은 '꾹꾹'과 '울트라(가이드 없음)'가 있다.[11]
2인용 로컬 통신 대전 모드. 3DS 시리즈 본체 2대와 소프트 2개가 필요하다. 규칙을 설정할 수 있고, 미니게임을 동시에 플레이하며 대전한다.


3.3. 도감[편집]


ずかん / Index

도감에는 이전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스토리 모드에서 한 번이라도 플레이한 미니게임이 모여 있다. 각각의 미니게임을 선택하여 즐길 수 있어, 잘 못하는 미니게임을 연습하거나 원하는 미니게임을 파고들며 플레이할 수 있다. 각 미니게임마다 목표 기록이 정해져 있으며 이것에 관한 미션도 있다.

미니게임을 캐릭터, 조작법, 테마 별로 모아볼 수 있으며, 각 분류의 미니게임의 목표 기록을 모두 달성하면 해당 분류에 올클리어의 의미로 꽃 마크가 달린다.


3.4. 뽑기 머신[편집]


ガチャコロン / Arcade

다른 모드를 플레이하면서 모은 코인을 사용하는 엑스트라 모드 겸 컬렉션 모드. 뽑기 머신(ガチャコロン/가챠코롱)에 코인을 넣고 레버를 돌리면 경품을 랜덤으로 하나씩 얻을 수 있다.(600코인=캡슐1개, 6000코인=캡슐10개) 모은 경품은 장난감 방(ゴチャルーム/Toy Room)에서 정보를 확인하거나 플레이할 수 있다. 조건을 만족하면 와리오 카드 모드가 열린다.

경품의 종류는 다음과 같으며, 총 200개가 존재한다.


3.4.1. 와리오 카드[편집]


ワリオカード / Wario Kard[13]

그냥 수집품인 줄 알았던 캐릭터 카드를 전부 모으게 되면 새로운 뽑기 머신 '가챠페롱'이 열리면서 A랭크, B랭크 캐릭터 카드도 수집할 수 있게 되고[14], 이 카드를 이용하여 적들과 배틀할 수 있는 와리오 카드 모드가 열린다.

캐릭터 42종, 랭크 3종류로 총 126종류가 존재하는 캐릭터 카드에는 여러 가지 수치가 존재한다.


이 카드들을 가지고 와리오 카드 모드에서 게임을 할 수 있는데, 항상 6인의 적이 나타나서 이 중 골라서 배틀을 할 수 있다. 적들은 미니게임 등 작중 여러 곳에 나오는 다양한 인물(?)들으로, 체력과 가위바위보 내는 경향, 특수능력 등이 정해져 있다. 덕분에 미니게임 속에 등장하는 괴상한 캐릭터들의 공식 이름을 알 수 있다(...). 이들을 공격해서 체력을 0으로 만드는 것이 본 게임의 목표.

와리오 카드에 참여하려면 1회마다 마늘을 1개 소비하는데 모바일 게임의 스태미나 취급이다. 최대 3개까지 차고, 실제 시간 3분에 1개씩 회복한다. 뭐 마늘이 없으면 코인 500을 내고 공격할 수도 있긴 하다. 미니게임 좀 하고 카드 돌고 미니게임 하고 하면 문제없다.

공략에 실패해도 일정 경험치를 얻을 수 있고, 적은 체력이 깎인 채로 유지되며 페널티는 없다. 마늘이 있으면 이어서 할 수 있지만, 한 번에 해당 적에게 도전할 수 있는 기회는 정해져 있고 그 기회 안에 이기지 못하면 체력이 리셋되거나 다른 캐릭터로 바뀌어 버린다. 승리하면 경험치와 코인을 주며, 일부 적들은 카드 뽑기를 할 수 있는 기회도 주기도 한다.


3.4.2. 미니게임(기록형)[편집]


시리즈 전통 미니게임. 새를 조작하여 대각선으로 혀를 길게 뻗어 땅을 부수는 콩을 먹어치운다. 높이 있는 콩을 먹으면 더 높은 점수를 얻는다. 콩이 새의 머리에 닿으면 게임 오버.

두 화면을 사용하는 PYORO 진화 버전. 이번에는 땅 밑으로 콩이 떨어지면 그 자리에서 콩이 달린 콩나무가 위로 자라난다. 콩나무에 달린 콩을 먹으면 추가 점수를 얻을 수 있다. 흰색콩에서 자라난 콩나무에 달린 별을 먹으면, 일정시간 몸이 커지고 무적 상태가 되며 한 번에 많은 콩을 먹을 수 있게 된다. 다른 규칙은 위와 동일.

돌려라 메이드 인 와리오에 등장했던 게임. 본체를 돌려서 누운 고양이를 굴려 위에 날아다니는 적을 쏘아 퇴치한다. 적이 고양이에게 닿으면 게임 오버.

시스템이 바뀐 네코로이드 후속작. 이번에는 본체를 돌려도 고양이가 구르지 않고 조준만 하며, 위에 고정된 채로 아래에서 올라오는 적을 쓰러트린다. 거북을 쏘아 떨어트릴 때 본체를 돌리면 중력을 바꿔 아래에 있는 적을 한꺼번에 쓰러트릴 수 있다. 적이 고양이에게 닿으면 게임 오버.

5개 홀에서 가능한 한 적은 타수로 기록을 내는 골프 게임. 본체를 돌려서 클럽을 휘두른다. 2인 플레이 대응.

클리어한 홀의 수로 기록을 내는 골프 게임. 매 홀마다 5번까지만 공을 칠 수 있다. 조작은 위와 동일.

터치스크린으로 볼링공을 굴리는 볼링 게임. 1회에 10프레임을 플레이하며, 규칙도 일반 볼링과 같다.

터치스크린에 등장하는 물건에 계속 사인을 하는 게임. 물건에 적은 사인이 처음에 한 사인과 일치할수록 높은 점수를 받는다. 참고로 정확하고 단순한 사인을 반복하는 것 보다는 조금 틀리더라도 약간 복잡한 한자 글자 같은 것을 빠르게 적는게 더 고득점이 나오기 쉽다.

맨홀을 이동시켜 구멍 위로 사람이 지나가게 하는 게임. 사람이 맨홀을 밟은 횟수로 점수가 정산되며, 한 사람이라도 구멍에 빠지면 게임 오버. 'GAME A'와 'GAME B' 두 가지 모드를 고를 수 있다.

애슐리가 적으로부터 오른쪽 밭을 지키는 게임. 십자버튼으로 이동하고 A버튼으로 마법을 부려 적을 호박으로 만들 수 있다. 호박을 차면 뒤에 있는 호박과 적을 없앨 수 있다. 호박을 많이 부수어 게이지를 채우면 B버튼으로 적을 잠시동안 멈출 수 있다.

뒤집한 카드를 터치하여 60초의 제한시간 이내에 같은 짝을 최대한 많이 맞추는 게임. 짝을 맞추면 FEVER 게이지가 차오르며, 꽉 차면 피버 타임이 재생되어 모든 카드의 그림이 보여지게 된다.

만드라고라 뿌리 끝의 물체를 떼어내어 점수를 얻는, 2~4인 플레이 전용 게임. 물체를 떼어낼 때 맨드라고라가 울부짖으면 해당 플레이어는 500점 감점되며 게임이 끝난다. 황금 사과는 100점, 은색 꽃은 50점, 나뭇잎은 30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맨드라고라가 소리지를 확률이 높다.

터치스크린으로 바늘에 실을 꿰는 게임. 꿴 바늘의 수가 점수가 되며, 실이 바늘 몸통에 닿으면 게임 오버.

돌려라 메이드 인 와리오에서 나온 미니 게임을 기록형 미니게임으로 만들었다. 본체를 돌려 칼을 휘둘러서 나뭇잎 등 여러가지 물체를 베는 게임. 물체가 하나라도 땅에 떨어지면 게임 오버.


3.4.3. 와리오의 amiibo 스케치[편집]


모든 그림 종류와 캐릭터명

뽑기 머신에서 해금한 후, '기타'에서 찾을 수 있는 모드. 아미보를 인식시키면 와리오가 그 아미보에 맞는 그림을 그린다. 와리오가 완성시키는 그림은 기본 캐릭터 모양, 캐릭터의 배색, 위치[18], 배경[19]이 랜덤으로 조합돼서 나오는 형태다. 완성 후 감정사가 나타나 그림을 평가한 다음 가격을 매겨준다.

염두에 둬야 할 것은 와리오는 퍼스트 파티에 해당하는 아미보만 보고 그린다[20]. 세컨드 파티[21]와 서드 파티 게임의 아미보는 '그런건 어디서 구했냐?(영문판 기준)'같은 대사를 하면서 상관없는 배경과 장식으로 이루어진 그림을 그려준다.

와리오는 그림에 소질이 없는 건지 성의가 없는 건지 그야말로 가관인 그림실력을 보여주니 기대할 만 하다. 단 와리오 본인의 아미보[22]를 3DS에 들이대면 순정만화 주인공으로 곧장 튀어나와도 이상하지 않을 샤방샤방한 그림을 그려낸다.

하루에 3종류의 아미보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같은 종류의 아미보는 하루에 중복해서 사용할 수 없다.


3.5. 미션[편집]


ミッション / Mission

정해진 조건을 달성하여 코인을 얻을 수 있는 도전과제. 총 157개의 미션이 있으며 스토리, 챌린지, 도감, 미니게임(기록형)에서 도전할 수 있다. 게임을 플레이하는 도중 미션을 클리어한 순간에 특정 효과음이 재생된다.


4. 기타[편집]




5. 영상 모음[편집]


※일본판 소개 영상, 일본판 오프닝 영상은 본문 안에 게재됨.
닌텐도 다이렉트 2018.3.9 첫 공개 영상(일본)
일본 TVCM 1
일본 TVCM 2
일본 Web CM

북미판 소개 영상
영어판 모든 컷신 모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19:01:09에 나무위키 메이드 인 와리오 고저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New 닌텐도 3DS 대응[2] 카메라는 대응하지 않는다.[3] 사족으로 조작법 가이드 시스템은 춤춰라 메이드 인 와리오의 주요 특징이었다.[4] 참고로 춤춰라 메이드 인 와리오에서 조작법을 설명하는 대사가 풀 더빙된 전례는 있다.[5] 와리오, 지미T, 모나, 드리블&스피츠, Dr.크라이고어, 페니, 마이크, 캐트&안나, 오뷰론, 애슐리&레드, 영 크리켓&맨티스 사부, 나인볼트(+엄마 파이브볼트, 친구 에잇틴볼트), 샤기 등[6] 지미, 크라이고어, 모나, 캐트&안나, 영 크리켓, 페니, 마이크, 섀기[7] 파이브볼트, 나인볼트, 에잇틴볼트, 오뷰론, 애슐리, 드리블&스피츠, 마이크, 섀기[8] 좀 뜬금없이 바비큐 파티인 건 아마 메이드 인 와리오 발매당시 사원일기에서 발매 전에 다같이 바비큐를 한 기록의 오마쥬인 듯. 드리블과 스피츠가 고기를 가져오거나 오뷰론이 또 증발하는 우주당근을 가져온 것도 똑같다(...).[9] 기존 시리즈의 와리오 워치와 엘리베이터 스테이지('뒤죽박죽', '왕어려움', '스릴만점', '순간포착')의 개념을 확장한 모드로 볼 수 있다.[10] 사실상 나오는건 드리블 뿐이다.[11] 울트라로 플레이할 경우 '터치' 미니게임이 아래 화면에만 등장하며, 같은 조작법이 연달아 나오지 않는다.[12] 이 게임의 메인 컨텐츠인 5초짜리 미니게임과 다른 의미의 미니게임이다. '미니게임' 용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기타' 문단 참조.[13] 타이틀 로고부터 마리오 카트의 패러디. 영어판도 Wario Card가 아니라 마리오 카트 시리즈처럼 Wario Kard이다.[14] 랭크 별로 카드 뒷면에 적혀있는 캐릭터 소개문이 다르고, A랭크 카드에는 여러가지 수록된 캐릭터 보이스를 들어볼 수 있는 기능도 있다.[15] 예를 들어 9볼트는 엄마 5와트와 파트너 관계이고 18볼트는 13앰프와 파트너이다. 크라이고어도 마이크가 아니라 페니와 파트너 사이인 등.[16] 일본어로 고양이를 뜻하는 '네코(ねこ)'와 횡스크롤 슈팅게임 '메트로이드(メトロイド)'를 합친 말임과 동시에, '뒹굴다(ねころがる(네코로가루))'는 의미도 있는 언어유희. 등장하는 적들도 그림체가 바뀌었을 뿐 메트로이드 시리즈에 등장하는 적들의 패턴을 그대로 가져왔다.[17] 게임 보이용 메트로이드 게임 Metroid 2: Return of Samus 또는 이 작품의 3DS용 리메이크인 메트로이드 사무스 리턴즈를 변형한 이름.[18] 가끔 앤디 워홀 작품마냥 여러개를 일정하게 그려놓기도 한다.[19] 멀쩡한 배경도 많지만 가끔 아무리봐도 사진인 고기 한덩어리같은 웃기는 것도 걸린다.[20] 퍼스트 파티지만 동물의 숲: 해피 홈 디자이너의 카드형 아미보는 받지 않는다.[21] 그런고로 별의 커비 시리즈, MOTHER 시리즈 등의 아미보들도 보고 그리지 않는다.[22] 대난투 버전 메인 복장과 슈퍼 마리오 버전 노란 작업복 모두 별개 아미보로 인식한다.